
엑셀 조건에 맞는 셀의 개수를 구하는 함수정리하여 알아보겠습니다.
엑셀에서 특정 조건에 맞는 셀의 개수를 세는 것은 일반적인 작업입니다.
여러 가지 방법이 있지만, 일반적으로 COUNTIF 또는 COUNTIFS 함수를 사용합니다.
이 함수들은 지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셀의 개수를 세어줍니다.
1. COUNT함수 :
지정한 범위에서 빈칸제외 숫자가 있는 셀의 수를 계산할 때 사용합니다.
=COUNT(셀범위)
=COUNT(D3:D7)
결과값 4

2. COUNTA함수 :
위에 함수는 숫자만 셀수 있다면 이 함수는 문자, 숫자, 기호 셀에 들어가 있으면 다 개수를 셀 수 있습니다.
=COUNTA(셀범위)
=COUNTA(C3:C7)
결과값 4
3. COUNTIF함수 :
엑셀 셀 범위내에서 1개의 조건에 일치하는 셀개수값 구할 때 사용합니다.
=COUNTIF(셀범위 지정, 조건지정)
=COUNTIF(C2:C7,”6월”)
※ 주의사항 조건지정은 ” ” 따옴표 안에 넣어야 합니다.

4. COUNTIFS함수 :
범위 내에서 2개 이상의 조건에 맞는 셀의 개수를 구할 때 사용합니다.
*COUNTIF와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.
=COUNTIFS(셀범위 지정, 1번째 조건, 셀범위 지정, 2번째 조건,….)
=COUNTIFS(C3:C7, “6월”, D3:D7, “>=50000”) =1
※ 주의사항 조건지정은 ” ” 따옴표 안에 넣어야 합니다.